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카모토 카오리

덤프버전 :

사카모토 카오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도르시 그린호프 스미스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테레사 웰드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영국 국기.svg 에델 무켈트2회1928 생모리츠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비아트릭스 로렌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마리벨 빈슨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스웨덴 국기.svg 비비 안네 헐튼
5회1948 생모리츠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6회1952 오슬로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자케린 두 비에프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인그리드 웰든8회1960 스쿼밸리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바바라 롤스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페트라 버카10회1968 그르노블파일:체코 국기.svg 한나 마스코바
11회1972 삿포로파일:미국 국기.svg 재닛 린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독일 국기.svg 다그마 럴츠14회1984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키라 이바노바
15회1988 캘거리파일:미국 국기.svg 데비 토머스16회1992 알베르빌파일:미국 국기.svg 낸시 케리건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중국 국기.svg 천루18회1998 나가노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20회2006 토리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21회2010 밴쿠버파일:캐나다 국기.svg 조아니 로셰트22회2014 소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23회2018 평창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오스먼드24회2022 베이징파일:일본 국기.svg 사카모토 카오리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 펼치기 · 접기 ]

11회(1906년) ~ 50회(1945년)
[ 펼치기 · 접기 ]

11회1906 다보스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12회1907 빈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
13회1908 트로파우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14회1909 부다페스트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5회1910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16회1911 빈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7회1912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18회1913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
19회1914 생모리츠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20회1915취소WWI
21회1916취소WWI22회1917취소WWI
23회1918취소WWI24회1919취소WWI
25회1920취소WWI26회1921취소WWI
27회1922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28회1923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29회1924 맨체스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30회1925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31회1926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32회1927 오슬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3회1928 런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4회1929 부다페스트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5회1930 뉴욕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6회1931 베를린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7회1932 몬트리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8회1933 스톡홀름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9회1934 오슬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0회1935 빈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1회1936 파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2회1937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
43회1938 스톡홀름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44회1939 프라하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
45회1940취소WWII46회1941취소WWII
47회1942취소WWII48회1943취소WWII
49회1944취소WWII50회1945취소WWII

51회(1946년) ~ 100회(1995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46취소WWII52회1947 스톡홀름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
53회1948 다보스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54회1949 파리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
55회1950 웸블리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56회1951 밀라노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
57회1952 파리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자케린 두 비에프58회1953 다보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59회1954 오슬로파일:독일 국기.svg 건디 부쉬60회1955 빈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61회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62회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3회1958 파리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64회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5회1960 밴쿠버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캐럴 하이스66회1961 프라하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1962 프라하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68회1963 코르티나담페초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69회1964 도르트문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70회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캐나다 국기.svg 페트라 버카
71회1966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72회1967 빈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73회1968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74회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
75회1970 류블랴나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76회1971 리옹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77회1972 캘거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78회1973 브라티슬라바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렌 마그누센
79회1974 뮌헨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80회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이앤 더레이우
81회1976 예테보리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해밀82회1977 도쿄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
83회1978 오타와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84회1979 빈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
85회1980 도르트문트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86회1981 하트퍼드파일:스위스 국기.svg 데니스 비엘만
87회1982 코펜하겐파일:미국 국기.svg 일레인 자약88회1983 헬싱키파일:미국 국기.svg 로잘린 섬너스
89회1984 오타와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0회1985 도쿄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1회1986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데비 토머스92회1987 신시내티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3회1988 부다페스트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4회1989 파리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이토 미도리
95회1990 핼리팩스파일:미국 국기.svg 질 트레나리96회1991 뮌헨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97회1992 오클랜드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98회1993 프라하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옥사나 바이울
99회1994 치바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사토 유카100회1995 버밍엄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101회(1996년) ~
[ 펼치기 · 접기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



파일:일본 빙상연맹.svg
전일본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6회(1934-35년) ~ 50회(1978-79년)
[ 펼치기 · 접기 ]

6회1934-35 도쿄이나다 이츠코
7회1935-36 도쿄토고 타마코8회1936-37 도쿄이나다 이츠코
9회1937-38 도쿄이나다 이츠코10회1938-39 도쿄이나다 이츠코
11회1939-40 도쿄이나다 이츠코12회1940-41 도쿄이나다 이츠코
13회1941-42취소WWII14회1942-43취소WWII
15회1943-44취소WWII16회1944-45취소WWII
17회1945-46취소WWII18회1946-47 하치노헤츠키오카 요시코
19회1947-48 모리오카니와 요시코20회1948-49 스와취소
21회1949-50 토마코마이?22회1950-51 닛코이나다 이츠코
23회1951-52 도쿄?24회1952-53 도쿄츠키오카 요시코
25회1953-54 오사카야마시타 츠야코26회1954-55 도쿄야마시타 츠야코
27회1955-56 쿄토우에노 준코28회1956-57 도쿄우에노 준코
29회1957-58 도쿄우에노 준코30회1958-59 오사카우에노 준코
31회1959-60 도쿄후쿠하라 미와32회1960-61 도쿄우에노 준코
33회1961-62 오사카후쿠하라 미와34회1962-63 도쿄후쿠하라 미와
35회1963-64 도쿄후쿠하라 미와36회1964-65 오사카후쿠하라 미와
37회1965-66 토마코마이후쿠하라 미와38회1966-67 도쿄오카와 쿠미코
39회1967-68 도쿄오카와 쿠미코40회1968-69 도쿄야마시타 카즈미
41회1969-70 오사카야마시타 카즈미42회1970-71 도쿄야마시타 카즈미
43회1971-72 삿포로야마시타 카즈미44회1972-73 오사카와타나베 에미
45회1973-74 교토와타나베 에미46회1974-75 히로시마와타나베 에미
47회1975-76 도쿄와타나베 에미48회1976-77 도쿄와타나베 에미
49회1977-78 교토와타나베 에미50회1978-79 도쿄와타나베 에미

51회(1979-80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1979-80 도쿄와타나베 에미52회1980-81 도쿄코바야시 레이코
53회1981-82 도쿄요시다 마리코54회1982-83 도쿄오자와 주리
55회1983-84 도쿄카토 마사코56회1984-85 도쿄이토 미도리
57회1985-86 도쿄이토 미도리58회1986-87 도쿄이토 미도리
59회1987-88 도쿄이토 미도리60회1988-89 도쿄이토 미도리
61회1989-90 기타큐슈이토 미도리62회1990-91 요코하마이토 미도리
63회1991-92 고베이토 미도리64회1992-93 나고야사토 유카
65회1993-94 요코하마사토 유카66회1994-95 고베요코야 하나에
67회1995-96 요코하마이토 미도리68회1996-97 나가노스구리 후미에
69회1997-98 고베아라카와 시즈카70회1998-99 요코하마아라카와 시즈카
71회1999-00 후쿠오카시나 치사토72회2000-01 나가노스구리 후미에
73회2001-02 오사카스구리 후미에74회2002-03 교토스구리 후미에
75회2003-04 나가노안도 미키76회2004-05 요코하마안도 미키
77회2005-06 도쿄스구리 후미에78회2006-07 나고야아사다 마오
79회2007-08 카도마아사다 마오80회2008-09 나가노아사다 마오
81회2009-10 카도마아사다 마오82회2010-11 나가노안도 미키
83회2011-12 카도마아사다 마오84회2012-13 삿포로아사다 마오
85회2013-14 사이타마스즈키 아키코86회2014-15 나가노미야하라 사토코
87회2015-16 삿포로미야하라 사토코88회2016-17 오사카미야하라 사토코
89회2017-18 도쿄미야하라 사토코90회2018-19 오사카사카모토 카오리
91회2019-20 도쿄키히라 리카92회2020-21 나가노키히라 리카
93회2021-22 사이타마사카모토 카오리94회2022-23 카도마사카모토 카오리
95회2023-24?96회2024-25?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사카모토 카오리
坂本(さかもと 花織(かおり | Kaori Sakamoto
파일:사카모토 카오리 베이징 포디움.jpg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동메달 획득 당시
출생2000년 4월 9일 (24세)
효고현 고베시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학력고베가쿠인대학 경영학부 (졸업)
종목피겨 스케이팅
신체159cm
코치그레이엄 미츠코, 나카노 소노코
랭킹1위[1]
소속시스멕스
1. 개요
2. 선수 경력
2.1. 2013-14 시즌
2.2. 2014-15 시즌
2.3. 2015-16 시즌
2.4. 2016-17 시즌
2.5. 2017-18 시즌
2.6. 2018-19 시즌
2.7. 2019-20 시즌
2.8. 2020-21 시즌
2.9. 2021-22 시즌
2.10. 2022-23 시즌
2.11. 2023-24 시즌
3. 기술 및 평가
4.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
6. 프로그램
7. 커리어
7.1. 대회 별 상세 점수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동메달리스트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13-14 시즌[편집]


아시안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6차 2013 JGP 체코 대회에서 6위를 하며 주니어 데뷔를 했다. 2013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는 6위를 하고, 챌린지 컵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2. 2014-15 시즌[편집]


자국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 7차 2014 JGP 일본 대회에서 7위를 했다. 2014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히구치 와카바에 이어 은메달을 따며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 자격을 얻었다. 처음으로 참가한 2014 전일본선수권에서는 6위를 했다. 2015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6위를 하며 일본의 여자 싱글 출전권 3장을 지켜냈다.


2.3. 2015-16 시즌[편집]


시니어 데뷔 가능 연령이 되었으나, 시즌 베스트 점수가 낮아 주니어에 잔류하였다. 아시안 트로피에 시니어로 참가하여 동메달을 따며 시즌을 시작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2차 2015 JGP 라트비아 대회에서 마리아 소츠코바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그러나 이어진 5차 2015 JGP 폴란드 대회에서는 4위를 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5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5위, 2015 전일본선수권에서 13위를 기록했다. 2016 릴레함메르 청소년 동계올림픽에서 6위를 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4. 2016-17 시즌[편집]


지난 시즌처럼 시즌 베스트 점수가 낮아 주니어에 잔류하게 되었다.

주니어 그랑프리 1차 2016 JGP 프랑스 대회에서 알리나 자기토바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자국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 3차 대회에서는 우승함과 동시에 혼다 마린, 야마시타 마코와 함께 일본 선수들로 포디움을 스윕했다. 두 대회의 포인트 합산 결과로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파이널에 앞서 열린 2016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 참가해 우승했다. 2016-17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6 전일본선수권에서는 7위를 했다. 자국에서 열린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부상으로 기권하였다. 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2.5. 2017-18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후반) 3F+3T, 3Lo, 2A
프리3F+3T, 3S / 3Lz, 3F+2T, 2A+3T+2T, 3Lo, 2A
아시안 트로피에서 우승하면서 시즌을 시작했다. 챌린저 시리즈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는 4위를 하며 아쉽게 포디움에는 들지 못했다.

2017 로스텔레콤 컵에 5위를 하며 드디어 시니어 무대에 데뷔했다.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는 200점을 넘기며 은메달을 땄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출전 선수를 뽑는 2017 전일본선수권에서 2위를 하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올림픽 직전 2018 사대륙선수권에 참가하여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우승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프리에 참가하여 5위를 했고 개인전에서는 쇼트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최종 6위를 기록했다. 이후 쿠페르 드 프린템스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6. 2018-19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3F+3T, 2A / 3Lo
프리3F+3T, 2A, 3Lz, 3S / 2A+3T+2T, 3F+2T, 3Lo
챌린저 시리즈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4위를 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2018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따며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에 성공하였다.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쇼트와 프리 모두 4위로 최종 4위를 하였다.

2018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 클린하며 미야하라 사토코에 이은 2위에 올랐다. 다음날 프리 역시 클린하며, 두번의 트리플 악셀을 성공해낸 키히라 리카를 간발의 차로 제치고 첫 내셔널 우승을 거머쥐었다.

2019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2위였으나, 프리에서 더블 악셀을 싱글로 처리하고 후속 트리플 토룹을 놓치는 실수 때문에 4위를 하여 포디움에는 들지 못하고 4위로 마감했다.

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개인 최고점을 세우며 2위를 했으나, 프리에서 트리플 플립을 싱글로 처리하여 5위를 하여 최종 5위로 마감했다.[2]2019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모든 부문에서 개인 최고기록을 세우며 개인 3위, 팀은 2위를 했다.


2.7. 2019-20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3F+3T, 2A / 3Lo
프리2A, 3F+3T, 3Lz, 3S / 3Lo+2T, 2A+3T+2T, 3Lo
2019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 2위를 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9 스케이트 아메리카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는 모두 4위를 했다. 2019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는 연결 트리플 토룹에서 언더 판정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전체적으로 좋지 못한 수행을 펼치며 6위로 마무리했다. 원래 경기할 때 큰 실수들을 잘 하지 않는 편인데, 이번 시즌은 체형 변화 및 멘탈의 문제로 인해 크고 작은 실수가 계속 나왔다.

2020 사대륙선수권에 참가하여 쇼트에서는 트리플 룹 오버턴 실수를 제외하고는 깔끔하게 수행하여 73.07점으로 4위를 했고, 프리에서 쿼드러플 토룹을 시도하였으나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다. 이 외에도 몇 개의 자잘한 실수들을 하며 202.79점으로 최종 5위를 하여 부진을 면하지 못했다.[3]


2.8. 2020-21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2A, 3Lz / 3F+3T
프리2A, 3F+3T, 3Lz, 3S / 2A+3T+2T, 3F+2T, 3Lo

시즌 초반 지역예선을 포함한 국내대회들에 참가하였다. 2020 NHK 트로피에서는 쇼트와 프리 모두 클린 경기를 펼치며 229.51점으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했다.[4]

2020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는 트리플 플립에 손을 짚으며 연결 트리플 토룹을 더블로 처리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러츠에서 롱엣지 판정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준수한 경기를 보이며 최종 2위를 차지했다. 2021 세계선수권 쇼트에서는 3-3 컴비네이션 점프의 랜딩이 불안했고, 트리플 러츠에서 롱엣지 판정을 받아 70.3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의 트리플 플립에서 오버턴을 하고 트리플 러츠에서 롱엣지 판정을 받았다. 마지막 컴비네이션 스핀에서도 V 판정을 받아 137.42점을 받았고, 총점 207.80점으로 최종 6위를 기록했다.이로서 일본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출전권 아슬아슬하게 3장을 얻는 데 성공했고, 2022 세계선수권에서도 출전권 3장을 지킬 수 있게 되었다.

시즌 마지막 대회로 2021 월드 팀 트로피에 출전하여 쇼트에서는 클린하고, 프리에서는 어텐션과 쿼터 판정을 받은 것을 빼고는 클린하여 총점 228.07점으로 개인 2위, 팀 3위를 기록했다.[5]


2.9. 2021-22 시즌[편집]



2.9.1. 그랑프리 시리즈~2021 전일본선수권[편집]


점프 구성
쇼트2A, 3Lz / 3F+3T
프리2A, 3Lz, 3F+2T, 3S / 3F+3T, 2A+3T+2T, 3Lo
재팬 오픈에서 팀 2위 & 개인 4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시작했으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테스트 이벤트로 열린 아시안 오픈 트로피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2021 스케이트 아메리카 쇼트에서는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의 트리플 플립을 더블로 처리하며 71.16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러츠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고, 마지막 플라잉 콤비네이션 스핀에서도 V 판정을 받아 144.77점을 받았다. 총점 215.93점으로 4위를 차지했다.

2021 NHK 트로피 쇼트에서 클린하며 76.56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판정을 받고, 후반 3연속 점프의 연결 트리플 토룹에서 쿼터 판정을 받아 146.78점을 받았다. 총점 223.34점으로 대회 2연패를 차지했다.

2021 전일본선수권에서는 프리에서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판정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클린하며 234.06점으로 3년 만에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결과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2022 세계선수권 참가 자격도 얻었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2번째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다.


2.9.2.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사카모토개인쇼트.jpg
파일:사카모토단체프리.webp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단체전에서는 프리 경기에만 참가했고 148.66점으로 2위를 기록하며 일본 팀의 단체전 동메달에 기여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인전 쇼트 경기에서는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79.84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도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153.29점을 받아 총점 233.13점을 얻었다. 그렇지만 알렉산드라 트루소바안나 셰르바코바가 모두 총점 250점을 넘긴 상황이었고, 마지막 순서 카밀라 발리예바도 남아있었기 때문에 이대로 메달은 날아가나 싶었지만, 발리예바가 제대로 망한 경기를 선보이며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다.[6]


2.9.3. 2022 세계선수권[편집]


올림픽이 끝나고 열린 2022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80.32점을 받아, 개인 첫 쇼트 80점을 돌파했다. 이후 프리에서는 트리플 러츠에서 어텐션을 받은 것 외에는 클린 경기를 펼치며 프리 155.77점을 받았고, 총점 236.09점으로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함과 동시에 첫 세계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아사다 마오 이후 8년 만의 일본 여자 싱글의 세계선수권 우승이기도 하다.


2.10. 2022-23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2A, 3Lz / 3F+3T
프리2A, 3Lz, 3S, 3F+2T / 3F+3T, 2A+3T+2T, 3Lo

시즌 첫 대회로 2022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랜딩 실수가 나와 72.93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을 받았고, 단독 트리플 플립에서 넘어졌으며, 후반 3-3 컴비네이션 점프로 예정된 점프를 3-2 처리했고, 비점프 요소에서 레벨을 다 채우지 못해 132.40점을 받았다. 총점 205.33점으로 최종 2위를 차지했다.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후반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후속 토룹 점프를 2회전 처리하며 71.72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후반의 2A+3T+2T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트리플 토룹에서 랜딩이 불안하여 마지막 더블 토룹을 연결하지 못했으며 트리플 토룹에서 언더 판정을 받아 145.89점을 받았다. 총점 217.61점으로 최종 1위를 차지했다.

다음 그랑프리 대회인 2022 NHK 트로피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3Lz에서 어텐션, 후반부의 3F+3T에서 앞 점프에선 쿼터, 뒷 점프에선 언더 판정을 받으며 68.07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도 또 한번 3Lz에서 어텐션, 후반부의 3F+3T에서 두 점프 모두 쿼터, 마지막 점프인 3Lo을 팝하며 133.80점을 받았고 총점 201.87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2022-23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이번 시즌 처음으로 클린을 하며 75.86점을 받았다. 하지만 프리에서 3Lz에서 스텝 아웃했고 후반부의 3F+3T 컴비네이션을 시도하다 첫 점프에서 더블링하는 실수가 나와 후속 점프를 연결하지 못했다. 이어진 2A+3T+2T 컴비네이션도 첫 점프 랜딩이 흔들리며 3T을 더블링하며 마지막 점프가 자약룰에 위배되어 무효처리 되었으며 마지막 3Lo도 싱글링 처리하여 116.70점으로 프리 6위를 기록했다. 총점 192.58점으로 5위를 기록하며 대회를 마무리 했다.

2022-23 전일본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3Lz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으며 77.79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도 3Lz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는 것 이외에 모든 요소에서 클린을 하며 155.26점을 받아, 총점 233.55점으로 전일본선수권 통산 세 번째 우승을 차지함과 동시에 2연패를 달성했다.

2023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3 챌린지 컵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3F에서 어텐션을 받는 것 외엔 모든 요소에서 클린을 하며 76.85점을 받았다. 프리에선 스텝에서 레벨 2를 받는 것 외엔 모든 요소에서 클린을 하며 151.50점을 받아 총점 228.35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2023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79.24점이라는 높은 점수로 시즌 베스트를 경신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에서 플립 점프를 싱글링했으나, 바로 트리플 토룹을 연결하여 만회했다.[7] 이외에는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145.37점을 받았다.[8] 총점 224.61점으로 금메달 획득에 성공하며, 세계선수권 2연패에 성공했다.


2.11. 2023-24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2A, 3Lz / 3F+3T
프리2A, 3Lz, 3S, 3F+2T / 3F+3T, 2A+3T+2T, 3Lo

2023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스텝 시퀀스에서 레벨 3을 받은 것 외에는 준수한 수행을 펼치며 75.62점으로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쇼트와 마찬가지로 스텝 시퀀스에서 레벨 3을 받았으며, 트리플 플립에 언더, 더블 악셀+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 또한 각각 쿼터, 언더 판정을 받았다. 또한 마지막 트리플 룹 점프를 싱글링했으며, 3연속 컴비네이션 점프를 수행하지 못했다. 프리 127.58, 총점 203.2점으로 쇼트, 프리, 총점 모두 1위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3 재팬 오픈에 출전하였다.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레벨 2를 받은 것을 제외하면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프리 149.59점으로 개인 1위, 팀 1위를 차지했다.

2023 스케이트 캐나다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러츠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고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레벨 3을 받아 75.13점으로 쇼트 1위를 기록했다. 프리에서는 플라잉 싯 스핀에 레벨 3을 받은 것을 제외하면 모든 요소를 클린하여 프리 151.00점, 총점 226.13점으로 프리, 총점 또한 1위에 오르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3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판정을 받았으며, 플립 점프를 더블링했으나 바로 트리플 토룹을 연결하여 만회했다. 이후 스텝 시퀀스에서 레벨 3을 받아 69.69점으로 쇼트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러츠에 롱엣지 판정, 트리플 살코에 언더 판정, 트리플 룹에 쿼터 판정을 받았다. 프리 135.52점으로 1위, 총점 205.21점으로, 출전 선수 중 유일하게 200점을 돌파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모두 우승함에 따라, 1순위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3. 기술 및 평가[편집]


2A[9][10]3Lo[11][12]
고난도 점프 없이 트리플 점프로만 승부하는 선수 중 제일 최상위권 성적을 가지고 있다. 탄탄한 몸과 체형을 바탕으로 나오는 큰 스케일의 점프와 매우 빠르고 시원한 스케이팅 스킬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현역 선수들 중에서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따른 점프 가산점과 구성 점수도 잘 받는 편이다. 점프에선 특히 더블 악셀을 수행할 때 비거리와 랜딩 스피드가 모두 좋아 엄청난 퀄리티를 자랑한다.[13] 또한 트리플 룹도 잘 뛴다. 3-3 컴비네이션 점프로는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 점프를 프로그램 후반에 구사한다. 고난도 점프로는 트리플 악셀과 쿼드러플 토룹 점프를 연습하였다.[14]

비점프 요소의 경우, 스핀은 최고 레벨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지만 레벨을 채우면 가산점은 잘 받는 편이다. 스텝시퀀스는 빠른 스피드를 바탕으로 그리는 크고 정확한 턴과 빼곡히 채워진 안무로 가산점을 매우 잘 받지만, 스핀과 마찬가지로 최고 레벨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나온다.
3Lze[15]
그러나 러츠 점프를 명백한 인엣지로 수행하는 플러쳐이고 플립 점프의 도약 전 엣지가 부들거린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다만 러츠 엣지를 후하게 보는 최근 채점 경향상 롱엣지 판정을 받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16]


4. 기록[편집]


  • 역대 일본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선수 중 총점, 프리 스케이팅 최고 점수 보유 (프리: 155.77점, 총점: 236.09점)
  • 역대 일본 피겨 스케이팅 선수 중 세계선수권 2연패에 성공한 최초의 선수
  • 신채점제 시행 이후 점프에서 가산점(GOE) 만점을 받은 최초의, 유일한 여자 선수[17]
  •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부문에서 메달을 획득한 4번째 일본 여자 선수[18]
  • 키히라 리카에 이어 프리 150점을 넘은 2번째 일본 여자 선수
  • 키히라 리카에 이어 총점 230점을 넘은 2번째 일본 여자 선수
  • 쇼트 80점을 넘은 아홉번째 여자 선수[19]


5.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80.32(2022 세계선수권)
프리155.77(2022 세계선수권)
총점236.09(2022 세계선수권)


6.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23-2024Baby, God Bless You[20]
(코우노도리 OST)
by 키요즈카 신야
• Wild Is the Wind
• Feeling Good
by 로린 힐
Elastic Heart
(Violin ver.)
by 요코야마 레나
2022-2023자넷 잭슨 메들리
• Rock With U
• Feedback
• Elastic Heart
by Sia
• Lovation
by 칼 휴고
Love Shack
by The B-52's
Tango Amore
by Edvin Marton
Heart Upon My Sleeve
by Avicii, Imagine Dragons
2021-2022Now We Are Free
(글래디에이터 OST)
by 리사 제럴드, 한스 짐머
• No More Fight Left In Me
by Imany, Armand Amar
• Tris
by 엘리 굴딩, Junkie XL
Tango Amore
by Edvin Marton
Lose You to Love Me
by 셀레나 고메즈
2020-2021• Concerto en ré mineur,
BWV 974:II, Adagio
by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Bach à la Jazz
by Matt Herskowitz and Mary Kerr
매트릭스 OST
• Main Title / Trinity Infinity
• Clubbed to Death
by Don Davis
Jin
by 츠쿠요미
Arrivée des camionneurs
(로슈포르의 숙녀들)
by Michel Legrand
2019-2020No Roots
by Alice Merton
Jin
by 츠쿠요미
2018-2019From My First Moment
(짐노페디 1번)
by 에릭 사티
피아노 OST
• The Embrace
• The Scent of Love
• Deep Into The Forest
by 마이클 나이먼
• Tree of Life Suite: Wild Side
by Roberto Cacciapaglia
Don't Tell Mama(카바레)
by John Kander & Fred Ebb
Jin
by 츠쿠요미
시스터 액트 OST
• I Will Follow Him
by 우피 골드버그
2017-2018월광 소나타
by 루트비히 판 베토벤
아멜리에 OST
• La Valse d'Amélie
(Orchestral version)
• On The Wire
• The Drowned Girl
by 얀 티에르상
Primavera Porteña
by 아스토르 피아졸라
아멜리에 OST
by 얀 티에르상
The Color Purple
by 퀸시 존스
제임스 본드 메들리
• Diamonds Are Forever (Main Title)
by Shirley Bassey
• The Name's Bond... James Bond
by Nicholas Dodd
2016-2017The Artist
br Ludovic Bource
The Color Purple
by 퀸시 존스
Primavera Porteña
by 아스토르 피아졸라
2015-2016Malagueña
by Ernesto Lecuona
2014-2015Dark Eyes
by Florian Hermann
Ouverture
by 표트르 차이콥스키
2013-2014Anything Goes
by Cole Porter
알라딘
by 앨런 멩컨


7. 커리어[편집]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동메달2022 베이징단체전
동메달2022 베이징여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2023 사이타마여자 싱글
금메달2022 몽펠리에여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금메달2018 타이베이여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팀 트로피
은메달2019 후쿠오카단체전
동메달2021 오사카단체전
동메달2023 도쿄단체전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동메달2017 타이베이여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2016-17 마르세유여자 싱글
유니버시아드
은메달2023 레이크플래시드여자 싱글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0–1111–12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22–2323–24
올림픽6th3rd
세계선수권5th6th1st1st
사대륙선수권1st4th5th
GP 파이널4thC5th
GP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1st
GP 스케이트 캐나다1st
GP NHK 트로피1st1st2nd
GP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4th
GP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3rd
GP 스케이트 아메리카2nd2nd4th4th1st
GP 로스텔레콤 컵5th
CS 어텀 클래식1st
CS 네펠라 트로피2nd
CS 롬바르디아 트로피4th2nd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4th
챌린지 컵1st
쿠페르 드 프린템스2ndWD
아시안 게임WD
아시안 오픈 트로피3rd1st2nd
유니버시아드2nd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청소년 올림픽6th
주니어 세계선수권6th3rd
JGP 파이널3rd
JGP 프랑스2nd
JGP 폴란드4th
JGP 라트비아2nd
JGP 일본7th1st
JGP 체코6th
챌린지 컵1st J
아시안 오픈 트로피1st J
트리글라브 트로피2nd N
국내대회
전일본선수권15th6th13th7th2nd1st6th2nd1st1st
전일본 주니어선수권9th6th2nd5th1st
전일본 노비스선수권24th B5th A1st A
서일본선수권1st J5th J1st J1st1st
간사이 지역예선1st A1st A1st J1st JWD3rd J1st1st1st
단체전
올림픽5th T3rd T
2nd P
월드 팀 트로피2nd T
3rd P
3rd T
2nd P
3rd T
2nd P
재팬 오픈1st T
2nd P
2nd T
4th P
1st T
1st P
1st T
1st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N=노비스, J=주니어,
A/B=레벨


7.1. 대회 별 상세 점수[편집]


  • 시니어
2023–24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3.11.17-192023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1
69.69
1
135.52
1
205.21
2023.10.27-292023 스케이트 캐나다1
75.13
1
151.00
1
226.13
2023.10.072023 재팬 오픈1
149.59
1P/1T
2023.09.14-162023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1
75.62
1
127.58
1
203.20
2022–23 시즌
2023.04.13-162023 월드 팀 트로피2
72.69
2
145.75
3T/2P
218.44
2023.03.20-262023 세계선수권1
79.24
2
145.37
1
224.61
2023.02.23-262023 챌린지 컵1
76.85
1
151.50
1
228.35
2023.01.13-152023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유니버시아드1
78.40
2
139.02
2
217.42
2022.12.21-252022-23 전일본선수권1
77.79
1
155.26
1
233.55
2022.12.08-112022-23 그랑프리 파이널1
75.86
6
116.70
5
192.56
2022.11.18-202022 NHK 트로피2
68.07
1
133.80
2
201.87
2022.10.21-23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1
71.72
1
145.89
1
217.61
2022.10.082022 재팬 오픈1
146.66
1P/1T
2022.09.16-192022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
72.93
2
132.40
2
205.33
2021–22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2.03.21-272022 세계선수권1
80.32
1
155.77
1
236.09
2022.02.15-17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인전3
79.84
3
153.29
3
233.13
2022.02.04-07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단체전2
148.66
3T/2P
2021.12.22-262021-22 전일본선수권1
79.23
1
154.83
1
234.06
2021.11.12-142021 NHK 트로피1
76.56
1
146.78
1
223.34
2021.10.22-242021 스케이트 아메리카4
71.16
3
144.77
4
215.93
2021.10.13-172021 아시안 오픈 트로피1
76.70
2
125.58
2
202.28
2021.10.07-102021 간사이 지역예선1
72.02
1
120.12
1
192.14
2021.10.022021 재팬 오픈4
133.26
4P/2T
2020–21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1.04.15-182021 월드 팀 트로피3
77.78
2
150.29
3T/2P
228.07
2021.03.22-282021 세계선수권6
70.38
5
137.42
6
207.80
2020.12.24-272020-21 전일본선수권2
71.86
2
150.31
2
222.17
2020.11.27-292020 NHK 트로피1
75.60
1
153.91
1
229.51
2020.10.30-11.012020 서일본선수권1
70.40
2
130.37
1
200.23
2020.09.25-272020 간사이 지역예선1
74.88
1
143.37
1
218.35
2019–20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0.02.04-092020 사대륙선수권4
73.07
8
129.72
5
202.79
2019.12.18-222019-20 전일본선수권3
69.95
7
118.31
6
188.26
2019.11.01-03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6
64.04
4
135.16
4
199.24
2019.10.18-202019 스케이트 아메리카2
73.25
4
129.22
4
202.47
2019.09.19-212019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4
59.97
2
134.45
2
194.42
2018–19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9.04.11-142019 월드 팀 트로피3
76.95
3
146.70
2T/3P
223.65
2019.03.18-242019 세계선수권2
76.86
5
145.97
5
222.83
2019.02.07-102019 사대륙선수권2
73.36
4
133.43
4
206.79
2018.01.20-242018-19 전일본선수권2
75.65
2
152.36
1
228.01
2018.12.06-092018-19 그랑프리 파이널4
70.23
4
141.45
4
211.68
2018.11.02-042018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7
57.26
2
140.16
3
197.42
2018.10.19-21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2
71.29
2
142.61
2
213.90
2018.10.062018 재팬 오픈2
130.28
2P/1T
2018.09.12-16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9
49.91
2
130.94
4
180.85
2017–18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8.03.16-182018 컵 드 프린템스1
73.27
2
129.29
2
202.56
2018.02.21-23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인전5
73.18
6
136.53
6
209.71
2018.02.09-12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5
131.91
5T
2018.01.22-282018 사대륙선수권2
71.34
1
142.87
1
142.87
2017.12.21-242017-18 전일본선수권1
73.59
4
139.92
2
213.51
2017.11.24-26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2
69.40
2
141.19
2
141.19
2020.11.02-052017 서일본선수권1
67.58
2
120.10
1
186.54
2017.10.20-222017 로스텔레콤 컵4
68.88
5
125.12
5
194.00
2017.10.06-092017 간사이 지역예선1
68.84
1
132.31
1
201.15
2017.09.13-172017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5
56.82
4
112.30
4
169.12
2017.08.02-052017 아시안 오픈 트로피1
63.70
2
112.41
1
176.11

  • 주니어
2016–17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7.03.15-19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3
67.78
3
127.76
3
195.54
2016.12.22-252016-17 전일본선수권시니어6
63.36
9
120.64
7
184.00
2016.11.18-202016-17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6
67.45
9
124.52
1
191.97
2016.12.08-112016-17 JGP 파이널주니어2
64.48
4
111.85
3
176.33
2016.10.28-302016 서일본선수권주니어1
66.25
1
127.34
1
193.59
2016.10.08-102016 간사이 지역예선주니어2
64.87
3
116.32
3
181.19
2016.09.07-112016 JGP 일본주니어1
65.66
2
65.66
1
187.81
2016.08.24-272016 JGP 프랑스주니어2
64.12
2
114.74
2
178.86
2015–16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6.02.12-212016 릴레함메르 청소년 동계올림픽주니어5
56.25
6
98.98
6
155.23
2015.12.24-272015-16 전일본선수권시니어17
53.90
12
111.60
13
165.50
2015.11.21-232015-16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5
58.96
6
111.76
5
170.72
2015.09.23-272015 JGP 폴란드주니어3
56.89
4
158.44
4
158.44
2015.08.26-302015 JGP 라트비아주니어3
58.75
2
112.20
2
170.95
2015.08.02-052015 아시안 오픈 트로피시니어3
39.64
3
99.36
3
139.00
2014–15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5.03.02-082015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4
58.72
6
107.53
6
166.25
2014.12.26-282014-15 전일본선수권시니어7
57.81
6
109.65
6
167.46
2014.11.17-182014-15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4
57.35
2
168.82
2
168.82
2014.10.31-11.032014 서일본선수권주니어2
59.31
9
109.17
5
149.39
2014.10.10-132014 간사이 지역예선주니어1
55.45
1
110.17
1
165.62
2014.09.11-142014 JGP 일본주니어6
52.70
7
93.46
7
146.16
2013–14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4.03.14-162014 인터내셔널 챌린지 컵노비스1
54.98
2
98.89
1
153.87
2013.12.20-232013-14 전일본선수권시니어9
56.29
16
95.56
15
151.85
2013.11.22-242013-14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8
47.14
4
101.64
6
148.78
2014.11.01-042013 서일본선수권주니어2
56.11
2
108.61
1
164.15
2013.09.26-292013 간사이 지역예선주니어1
51.17
1
99.46
1
150.63
2013.10.02-052013 JGP 체코주니어7
52.80
6
93.69
6
146.49
2013.08.08-112013 아시안 오픈 트로피주니어1
53.20
1
102.28
1
155.48
2012–13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3.03.27-312013 트리글라브 트로피노비스2
37.64
2
77.51
2
115.15
2012.11.17-182012-13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13
46.56
7
92.96
9
139.52
2012.10.05-082012 간사이 지역예선노비스(A)1
91.16
1
91.16


8. 기타[편집]


  • 정진운과 매우 닮았다.
  • 취미는 수영종이접기다.
  • 아버지는 전직 경찰관[21]이며, 2명의 언니가 있다. 언니들은 모두 초등학교 교사이다.
  • 같은 코치 밑에서 훈련하는 미하라 마이를 친구이자 라이벌로 생각하고 있다.
  • 키스 앤 크라이 존과 평소에 스스럼없이 웃는 모습 때문에 한국 팬들에게는 '호탕퀸'이라고도 불린다. 특히 좋은 점수를 받을 때 리액션이 크다.
  • 2021 피겨 스케이팅 월드 팀 트로피 당시 자국 팀의 초고를 그렸다.
파일:1618762671.jpg
파일:1618762671 (1).jpg
  • 2019-20 시즌 쇼트 프로그램 의상의 허리 부분 모양이 욱일기와 흡사하여 한국에서 논란이 되었다. 게다가 이 의상을 한국에서 열린 2020 사대륙선수권에서 그대로 착용하고 나와 논란이 더 커졌다. 하지만 일본 측은 단순한 의상 디자인이라며 부인했고, 해당 시즌 이후 의상과 음악이 교체되었다.
파일:피겨 욱일기 논란.jpg
[1] 2023년 3월 24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2/2023 Women[2] 2위인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와는 1.93점차, 3위인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는 불과 0.97점차에 뒤졌기에 트리플 플립 실수만 아니었으면 2위까지 할 수 있어서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3] 다만 이 대회 진짜 5위는 김예림이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김예림은 트리플 러츠에서 착지가 약간 불안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클린에 가까운 경기로 202.76점을 받았으나, 사카모토는 실수가 많아 쇼트 점수 차로는 도저히 극복이 불가능한 정도였다. 하지만 0.03점이라는 극악의 소수점 차이로 5위가 되었다.[4] 그러나 쇼트와 프리에서 각각 한 번씩 수행한 러츠 점프를 모두 롱엣지로 수행했으나 다른 선수들에겐 날카로운 판정이 적용된 반면에 어텐션 판정조차 받지 않고 높은 가산점을 획득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5] 이 시즌에는 한번도 넘어지지 않았는데, 체형 변화를 완전히 극복한 것으로 추정된다.[6] 또한 이 메달은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아사다 마오가 획득한 은메달 이후로 일본이 처음 획득하는 여자 싱글 메달이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깊다.[7] 만약 싱글/더블 토룹을 연결했다면 점수 손실을 만회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플립을 단독으로 처리하고 플랜 B를 시도하더라도, 마지막 룹 점프가 곡 최후반부에 배치되어 있어 트리플 룹+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을 뛸 경우 경기 시간 초과로 감점을 받을 위험이 매우 컸다. 순간적인 기지가 세계선수권 2연패라는 값진 결과를 가져다준 셈.[8] 프리 연기가 끝나자마자 슬프게 오열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4년 전과 똑같은 실수를 했다는 자책감에 눈물이 나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4년 전과 달리 트리플 토룹을 연결한 점에서 나름 성장한 것 같다고.[9] 2022 세계선수권 당시 GOE(가산점) 만점 1.65점으로, 현행 채점제에서 여자 싱글 부문 유일한 만점이다.[10] 당시 TES(기술점) 4.95[11] 2019 세계선수권 당시 GOE(가산점) 2.38[12] 당시 TES(기술점) 7.77[13] 2022 세계선수권, 2022-23 전일본선수권에선 더블 악셀에서 가산점 만점을 받기도 하였다. ISU 공인 대회에서 처음으로 더블 악셀 만점을 받은 여성 싱글 피겨스케이팅 선수이기도 하다.[14] 쿼드러플 토룹의 경우 실전에서 1번 시도한 적이 있으나, 다운그레이드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다.[15] 명백한 인엣지로 수행했지만 아무런 판정도 받지 않고 가산점 2.01점을 받았다.[16] 2022-23 시즌부터 엣지 교정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17] 2A(더블 악셀), 2022 세계선수권 쇼트 프로그램에서 달성[18] 이토 미도리 - 아라카와 시즈카 - 아사다 마오 - 본인 순.[19]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 알리나 자기토바 - 카롤리나 코스트너 - 키히라 리카 -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안나 셰르바코바 - 카밀라 발리예바 - 본인 순.[20] 두 조카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처음으로 본인이 직접 음악을 선곡했다고 한다.[21] 2019년에 퇴직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1:01:21에 나무위키 사카모토 카오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